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제356차 11월 안전점검의 날

  • 작성자 운영자
  • 작성일자 2025.11.19.
  • 조회수29

개 요

(의의) 취약시설에 대한 일제점검 및 안전교육 실시하여 안전위험요인 사전 차단하고 직원들의 의식 고취안전문화 확산

* 근거 : 재난 및 안전관리 활동 지침(국세청, ’25.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66조의7 및 같은 법 시행령 제73조의6

- (실시일자) 25.11.4. ()

- (참여대상) 지방청 및 세무서

중점 추진내용

(화재 주의) 11월은 불조심 강조의 달 가을철 산불조심(10.20.~12.15.) 기간으로 소방안전교육을 통해 화재에 대한 경각심과 이해심 고취

- 소화설비(소화기, 소화전) 비축 및 작동 상태 점검

- 대피로 적재물 제거, 비상구 폐쇄 여부 점검, 대피 경로 숙지·전파

- 피난설비(비상조명등, 유도등, 완강기, 방화셔터) 작동 상태 점검

- 건조한 날씨마른 낙엽으로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지기 쉬운 시기이므로 등산 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필요

* 화기물 소지 및 흡연 금지, 소각행위 금지, 허용된 지역 외 취사 및 야영금지

(한파 주의) 기온이 급격히 떨어짐에 따라 동상, 저체온증 등의 한랭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각별한 주의 필요

- 결빙 우려지역 동파 대비 시설물(보일러, 수도관, 계량기 등) 점검

- 동상, 저체온증 등 한랭질환 및 낙상사고유의

(대설 주의) 11월 중순부터 첫눈이 내리기 시작함에 따라 교통 대란, 정전 및 통신 장애 등 눈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 시작

- 폭설 대비 자재, 제설장비 비축 여부 등 사전 점검 실시

(안전신문고) 생활 속 안전 위험요인은 안전신문고 스마트폰 앱, 누리집(www.safetyreport.go.kr)을 이용하여 신고

- 민재난안전포털(safekorea.go.kr) 자율안전점검을 이용하는 등 일상생활 주변 안전 위험요인을 개선하여 안전사고 방지

안전신문고

국민재난안전포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41213_emergency_singo_banner.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1pixel, 세로 320pixel

(자료참고) 과거에 발생한 안전 및 재난사고 통계와 사례 등을 종합분석 한 재난안전분석결과 및 중점관리대상 재난안전사고 참고

*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 재난현황 통계자료실

(홍보) 엔티스·생각나래 배너, 민원봉사실TV관서 옥외전광판 송출, 홈페이지 게시 등 직원 참여 및 납세자 인식 제고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