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후 학자금 의무상환 꿀팁!! 나에게 맞는 상환 방법은?
2025.05.07.
학비가 부담돼서 학업을 이어 나가기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국세청에서는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출받은 학자금은 취업 후 소득이 발생했을 때 상환할 수 있기 때문에 등록금 걱정 없이 공부에 매진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취업 후 학자금 의무 상환은 어떻게 이뤄지고, 어떻게 상환할 수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봅니다. 국세청이 지난해 근로소득에 따라 상환의무가 발생한 취업 후 학자금 대출자 20만 명에게 2024년 귀속 의무상환액을 통지했습니다. 2024년 귀속 의무상환액의 원천공제 기간은 2025년 7월 1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로 올해 7월에 급여를 지급할 때부터 원천공제를 시작하게 됩니다. 통지받은 의무상환액은 대출자의 상황을 고려해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으며, 특히, 실직, 퇴직, 육아휴직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현재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이면 의무상환액에 대한 상환유예도 가능합니다.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는 경제적 여건과 관계 없이 균등한 고등교육 기회를 부여할 목적으로 대학 또는 대학원생에게 학자금을 대출해 주고 원리금은 소득이 발생한 후에 소득수준에 따라 상환하도록 하는 제도인데요. 학자금 대출과 자발적 상환은 한국장학재단에서, 소득에 따른 의무적 상환은 국세청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세청은 대출자의 전년도 연간 소득금액이 상환기준 소득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금액의 20% 또는 25%를 의무상환액으로 산정하는데요. 만약, 대출자가 소득이 발생한 지난해 한국장학재단에 자발적으로 상환한 금액이 있으면 이를 차감해 통지합니다. 의무상환액은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홈페이지 ’상환금 간편계산‘ 코너를 활용하면 편리하게 계산할 수 있는데요. 대출자가 회사로부터 급여를 받고 있다면 ’미리납부‘와 ’원천공제‘ 중에서 편리한 방법으로 의무상환액을 납부하면 됩니다. ’미리 납부‘는 대출자가 원천공제 기간이 시작되기 전까지 의무상환액을 ‘원천공제통지서’에 기재된 계좌로 납부하는 것으로, 6월 30일까지 한 번에 전액을 납부하거나, 6월 30일과 11월 30일 두 번에 걸쳐 반액씩 납부할 수 있는데요. 다만, 국세청에서 회사로 6월 초에 원천공제의무를 통지하므로 대출자가 전액 또는 반액을 5월 31일까지 납부하면 근무하는 회사에 원천 공제 대상자로 통지하지 않고, 회사에 통지한 후에 6월 30일까지 납부하면 원천공제를 하지 않도록 ‘원천공제중단통지서’를 발송합니다. 또한, 대출자를 고용한 회사에서 매달 급여를 지급할 때 의무상환액의 1/12씩을 원천공제해 납부할 수도 있는데요. 국세청에서는 6월 초 회사에 원천공제하도록 통지하며, 회사는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매달 원천공제를 진행합니다. 만약, 대출자가 현재 직장이 없거나 의무상환액이 36만 원 미만이면 ‘의무상환액 납부통지서’를 보내는데요. ‘의무상환액 납부통지서’를 받은 대출자는 통지서에 기재된 계좌로 납부 기한까지 직접 납부해야 하며, 대출자가 재취업해 새로운 회사에 다니게 되는 경우에는 의무상환액 중 이미 상환한 금액을 차감한 나머지 금액을 회사에서 원천공제합니다. 한편, 국세청에서는 경제적 사정 등으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출자를 지원하기 위해 상환유예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지난해 소득이 있었으나 실직, 퇴직, 육아휴직, 재난피해로 경제적 사정이 어렵거나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이면 신청할 수 있으며, 실직 등으로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진 대출자가 상환 유예를 신청하면 2년간 상환을 유예하고, 대학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출자는 4년간 상환을 유예합니다. 상환을 유예받고자 하는 대출자는 세무서 방문 없이 국세청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는데요. 의무상환과 관련해 궁금한 사항은 국세상담센터 또는 전국 세무서 법인세과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한편, 국세청은 올해부터 납부통지분 납부기한 도래 안내부터 상환유예분 납부기한 반기별 안내 등 놓치기 쉬운 맞춤형 정보를 제때 안내받을 수 있도록 신청자를 대상으로 ‘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국세청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미 신청을 하면 카카오 알림톡을 통해 편리하게 정보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국세청은 앞으로도 상환에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안내해 학자금 대출자가 편리하게 상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인데요. 등록금 걱정 없이 공부할 수 있도록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 있는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 앞으로도 더 많은 이들의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